책:’한글로의 여행’ 이바라키 노리코
저자가 시인인 만큼 말이 아름답다.
이바라키 노리코- Wikipedia
무엇보다 느낀 것은 시대의 차이.단행본 초판은 1986년.당시에는 한국어를 공부하는 사람이 적어서 한국어를 배운다고 하면 왜 그러냐고 물었다고 한다.
40여 년 뒤 지방 도시 시골 마을 회관에서 한국어 강좌가 열리고 토픽 중급 시험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40명 가까이 참여하는 시대가 올 줄은 당시에는 생각지도 못했을 것이다.
한류가 심해야 한다!
우리 부모님보다 조금 윗세대다.풍기는 공기감은 내가 자란 공기다.
50세가 넘어서부터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하여 한국어 시 번역에 이른다.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인도네시아 그림자 연극 와얀의 마츠모토 료씨는 시인이자 무도 평론가이지만, 원래 프랑스어 전문이었는데 와얀에 관심을 가져 40세부터 인도네시아 언어 중에서도 특히 어려운 자바어 공부를 시작해 자바어로 와얀을 연기하게 된 것도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한글도 많이 쓰이고, 일본어로 읽는 법을 흔들고 있다.한국에서의 여행 체험도 자주 나오지만 얼마 전 지방 풍경이 많아서 즐겁다.
의태어를 많이 소개한 것도 재미있었지만 일본 사투리와의 대비가 재미있었다.
’네'는 되물을 때는 짧게 말하고, 마음속 깊이 고개를 끄덕일 때는 길게 당기고, 두 개의 대답일 때도 있습니다.
한국어와 쇼나이 사투리의 단어나 어미 등의 대비가 흥미롭다.
그것을 발전시켜 고대 일본어와의 관계를 고찰한다.인용되던 김사엽 『고대조선어와 일본어』의 7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말이 어떻게든 통했기 때문에 통역이 필요 없었다는 설에 도서관에서 읽은 규슈 지명이나 말과 고대조선말의 관계를 떠올렸다.
그 책의 고대 일본과 고대 조선어 대조표에서 발췌한 표도 있다.억지스러운 것도 있지만, 그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것도 있다.
속담 소개도 즐겁다.속담사전이라는 것을 알고 다음에 한국에 가면 서점에서 찾아보려고 했다.
생활 속의 재미있는 표현들도 소개되어 있고, 모두 한글 병기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흥미로울 것이다.
이 책에는 한류가 두고 온 역사와 시대가 짙게 반영된다.
최승희 얘기가 나왔다.처음 듣는 이름이었다.전쟁도 말기에 민족명으로 일본에서 활동하며 열광적인 지지를 얻은 무용수다.
崔承喜 - Wikipedia
엄마 My Mother 최승희 소개 동영상 만들었어요!- YouTube
아사카와 타쿠미의 이야기도 나왔다.
야나기 무네요시와 인연이 있는 아사카와 형제의 동생이라고 한다.
아사카와 타쿠미- Wikipedia
’조선의 땅이 된 일본인 - 아사카와 타쿠미의 생애’다카사키 소지 저)가 소개되어 있었다.
저자는 한국에 갔을 때 아사카와 타쿠미의 무덤을 방문하려고 하는데, 위치를 물어보러 방문한 임업시험장에서 정중하게 응대하고 차까지 내줬다고 한다.차를 기다리는 시간에 당시를 아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도 있었다.
고마바 일본 민예관은 한 번 가봤는데 다시 한번 가보고 싶어지네.
야나기 무네요시와 일본 민예관 - 일본 민예관에 대해서 | 일본 민예관
이어지는 이야기가 시인 윤동주.이름은 들어본 적이 있었는데 도시샤 선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尹東柱 [繁中]尹東柱詩文影像版 Yun Dongju Poems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