廣開土王(三國史記高句麗本紀)韓国語
三國史記 第 十八卷(삼국사기 제 18권)
高句麗本紀 第 六(고구려본기 제 06)
075.廣開土王(광개토왕)
廣開土王(광개토왕) : 광개토왕은 <391-413, 재위기난22년>
諱談德(휘담덕) : 이름은 담덕이며
故國壤王之子(고국양왕지자) : 고국양왕의 아들이다.
生而雄偉(생이웅위) : 그는 태어나면서부터 체격이 크고
有倜儻之志(유척당지지) : 생각이 대범하였다.
故國壤王三年(고국양왕삼년) : 고국양왕 3년에
立爲太子(립위태자) : 태자가 되었다.
九年(구년) : 9년에
王薨(왕훙) : 왕이 붕어하자
太子卽位(태자즉위) : 태자가 왕위에 올랐다.
秋七月(추칠월) : 가을 7월
南伐百濟拔十城(남벌백제발십성) : 남쪽으로 백제를 공격하여 10개의 성을 점령하였다.
九月(구월) : 9월
北伐契丹(북벌계단) : 북쪽으로 거란을 공격하여
虜男女五百口(노남녀오백구) : 남녀 5백 명을 생포하고
又招諭本國陷沒民口一萬而歸(우초유본국함몰민구일만이귀) :
또한 본국에서 거란으로 도망갔던 백성 1만 명을 달래어 데리고 돌아왔다.
冬十月(동십월) : 겨울 10월
攻陷百濟關彌城(공함백제관미성) : 백제의 관미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其城四面峭絶(기성사면초절) : 그 성은 사면이 절벽이고
海水環繞(해수환요) : 바다로 감싸여 있었다.
王分軍七道(왕분군칠도) : 왕이 일곱 방면으로 군사를 나누어
攻擊二十日乃拔(공격이십일내발) : 공격한 지 20일 만에 점령하였다.
二年秋八月(이년추팔월) : 2년 가을 8월
百濟侵南邊(백제침남변) : 백제가 남쪽 변경을 침략하자.
命將拒之(명장거지) : 장수에게 명령하여 이를 방어하게 하였다.
創九寺於平壤(창구사어평양) : 평양에 아홉 개의 절을 창건하였다.
三年秋七月(삼년추칠월) : 3년 가을 7월
百濟來侵(백제래침) : 백제가 침략하였다.
王率精騎五千逆擊(왕솔정기오천역격) : 왕은 정예 기병 5천을 거느리고 쳐서
敗之(패지) : 그들을 패배시켰다.
餘寇夜走(여구야주) : 남은 적들이 밤에 달아났다.
八月(팔월) : 8월
築國南七城(축국남칠성) : 남쪽 지역에 일곱 개의 성을 쌓아
以備百濟之寇(이비백제지구) : 백제의 침범에 대비하였다.
四年秋八月(사년추팔월) : 4년 가을 8월
王與百濟戰於浿水之上(왕여백제전어패수지상) : 왕이 패수에서 백제와 싸워
大敗之(대패지) : 크게 패배시켰다.
虜獲八千餘級(노획팔천여급) : 8천여 명을 생포하거나 목베었다.
九年春正月(구년춘정월) : 9년 봄 정월
正遣使入燕朝貢(정견사입연조공) : 왕이 연 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二月(이월) : 2월
燕王盛以我王禮慢(연왕성이아왕례만) : 연 나라 임금 성이 우리 왕의 예절이 오만하다는 이유로
自將兵三萬襲之(자장병삼만습지) : 직접 군사 3만을 거느리고 공격해왔다.
以驃騎大將軍慕容熙爲前鋒(이표기대장군모용희위전봉) :
그들은 표기 대장군 모용 희를 선봉으로 삼아
拔新城南蘇二城(발신성남소이성) : 신성·남소의 두 성을 함락시키고
拓地七百餘里(척지칠백여리) : 7백여 리의 땅을 점령하여
徙五千餘戶而還(사오천여호이환) : 그들 백성 5천여 호를 이주시켜 놓고 돌아갔다.
十一年(십일년) : 11년
王遣兵攻宿軍(왕견병공숙군) : 왕이 군사를 보내 연 나라의 수비군을 공격하였다.
燕平州刺史慕容歸棄城走(연평주자사모용귀기성주) :
연 나라 평주 자사 모용 귀가 성을 버리고 도주하였다.
十三年冬十二月(십삼년동십이월) : 13년 겨울 11월
出師侵燕(출사침연) : 군사를 출동시켜 연 나라를 공격하였다.
十四年春正月(십사년춘정월) : 14년 봄 정월
燕王熙來攻遼東城且陷(연왕희래공료동성차함) :
연 나라 임금 희가 요동성을 공격하였는데 성이 함락될 즈음에
熙命將士(희명장사) : 성희가 장병들에게 명령하였다.
毋得先登(무득선등) : "성에 먼저 오르지 말라.
俟剗平其城(사잔평기성) : 성이 평정되면
朕與皇后乘轝而入(짐여황후승여이입) : 내가 황후와 함께 가마를 타고 들어 가리라."
由是(유시) : 그러나 이로 말미암아
城中得嚴備(성중득엄비) : 성 안에서는 삼엄한 대비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卒不克而還(졸불극이환) : 그들은 마침내 승리하지 못하고 물러갔다.
十五年秋七月(십오년추칠월) : 15년 가을 7월
蝗旱(황한) : 메뚜기 떼가 생기고 가뭄이 들었다.
冬十二月(동십이월) : 겨울 12월
燕王熙襲契丹至陘北(연왕희습계단지형북) :
연 나라 임금 희가 거란을 공격하기 위하여 경북에 도착하였다.
畏契丹之衆(외계단지중) : 그러나 거란의 군사가 많은 것을 겁내어
欲還(욕환) : 돌아가려 하다가
遂棄輜重(수기치중) : 수레의 무거운 군수품을 버리고
輕兵襲我(경병습아) : 경병으로 우리 나라를 공격하였다.
燕軍行三千餘里(연군행삼천여리) : 그러나 연 나라는 3천여 리를 행군하여 왔기 때문에
士馬疲凍(사마피동) : 군사와 말이 피로하였다.
死者屬路(사자속로) : 동사자가 길에 줄을 이었다.
攻我木底城(공아목저성) : 그들은 우리의 목저성을 공격하다가
不克而還(불극이환) : 승리하지 못하고 돌아갔다.
十六年春二月(십륙년춘이월) : 16년 봄 2월
增修宮闕(증수궁궐) : 궁궐을 증축 수리하였다.
十七年春三月(십칠년춘삼월) : 17년 봄 3월
遣使北燕(견사북연) : 북연에 사신을 보내
且叙宗族(차서종족) : 같은 종족으로서의 정의를 나누었다.
北燕王雲遣侍御史李拔報之(북연왕운견시어사리발보지) :
북연의 임금 운이 시어사 이 발을 보내 답례하였다.
雲祖父高和(운조부고화) : 운의 조부 고 화는
句麗之支屬(구려지지속) : 고구려의 방계인데
自云高陽氏之苗裔(자운고양씨지묘예) : 자칭 고양씨의 후손이라 하여
故以高爲氏焉(고이고위씨언) : '고'를 성씨로 삼았다.
慕容寶之爲太子(모용보지위태자) : 예전에 모용 보가 태자가 되었을 때
雲以武藝侍東宮(운이무예시동궁) : 운이 무예가 뛰어나다 하여 동궁을 모셨는데
寶子之(보자지) : 모용 보가 운을 아들로 삼아
賜姓慕容氏(사성모용씨) : 모용씨라는 성을 주었었다.
十八年夏四月(십팔년하사월) : 18년 여름 4월
立王子巨連爲太子(립왕자거련위태자) : 왕자 거연을 태자로 삼았다.
秋七月(추칠월) : 가을 7월
築國東禿山等六城(축국동독산등륙성) : 동쪽 지방에 독산 등 여섯 개의 성을 쌓고
移平壤民戶(이평양민호) : 평양의 백성들을 이주시켰다.
八月(팔월) : 8월
王南巡(왕남순) : 왕이 남쪽 지방을 순행하였다.
二十二年冬十月(이십이년동십월) : 22년 겨울 10월
王薨(왕훙) : 왕이 붕어하였다.
號爲廣開土王(호위광개토왕) : 호를 광개토왕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