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出し画像

『他者に対して幻想を抱かないと社会に対して建設的な期待は両立する』英語韓国語日記(+日本語)2025/01/25

*各言語でニュアンスが違うのは文体をそれぞれ変える練習ですのでご容赦ください。

ネットよくある論調として「他人と社会に期待しすぎw」みたいなのを少なくとも20年以上前から見ますが、その特徴は大きく2つに分けられる。一つは不正や失言などへの批判を矮小化する行為。もう一つは、社会的不公平、社会的不平、社会的理不尽などに対する抵抗を自己責任論に根ざした考え方で否定しようとする行為。改めて自己責任論とはなにかと考えると、個人の成功や失敗を全てその人自身の努力や選択の結果とみなす考え方であり、この視点からすると、社会や他者に期待することは甘えや依存と見なされ、「自分のことは自分でなんとかしろ」というメッセージが強調されます。この浸透した背景としては、2000年以降新自由主義的な考え方が広まり、社会的な問題や困難を「個人の責任」に還元し、「期待するな=自分で解決しろ」といった考え方が一般的になりました。またSNSや掲示板文化の中で、匿名性のもとで冷笑的・皮肉的な態度が広がりやすくなりました。「他人に期待するな」といった言説は、現実の不満を軽視する形で広まり、同調圧力として作用することもあります。現代では個人の自立が強調されるようになり、社会に頼ることへの抵抗感が生まれました。その結果、他人や社会に期待すること自体が否定される風潮が強まったと考えられます。そして自己責任論と密接に関連するのが、「努力すれば必ず報われる」という信念です。この考え方は、個人の努力不足を原因とし、社会への期待を否定する論調に繋がっています。社会には、貧困や不平等、機会の格差といった構造的な問題がありますが、自己責任論ではこれらを個人の努力不足に還元し、社会の改善を阻害します。人間社会は相互扶助を前提として成り立っており、誰もが単独で生きていけるわけではありません。しかし、「期待しすぎるな」という風潮は、社会的な助け合いの文化を損なうリスクがあります。他人や社会に期待できないという考え方が浸透すると、個人が孤立し、メンタルヘルスの問題が深刻化する可能性があります。「誰も助けてくれない」と追い込まれて、無力感が強まる恐れがあります。他人や社会に適切なレベルで期待することは、共生社会において自然なことであり、依存ではなく「相互協力」の一環と考えるべきです。自助努力を重視しつつも、社会が提供する制度やサポートを活用することを肯定し、両者をバランスよく考えることが重要です。個人の努力だけでなく、社会構造そのものの改善を求める声を可視化し、「期待すること」の正当性を再評価することが求められます。社会のの健全な在り方を考える上では、適度な期待を持つことは必要です。むしろ、期待を否定する風潮そのものを見直し、相互支援や協力の価値を再認識することが重要です。個人レベルでは、他者に対して過度な期待を抱くと、相手の行動や価値観とのズレによって失望やフラストレーションが生じがちです。そのため、相手をあるがままに受け入れ、自分の内面的な充足を大切にすることで、精神的な安定を得ることができます。一方で、社会に対しては、より良い方向への変化や改善を望むことは不可欠です。社会とは個人の集合体であり、個人が直接的にコントロールできるものではないため、ある程度の「理想」や「期待」を持ち、それに向けて努力や働きかけを行うことが、社会の進歩や改善につながります。ただし、ここでの「期待」は、他者に対する幻想的な期待とは異なり、理性的かつ現実的なものであるべきです。個人の行動はコントロールできないが、社会全体の仕組みや文化、政策に関しては、時間をかけて影響を与えることが可能です。したがって、個人への期待は手放しつつ、社会への期待は持続的な努力のもとで育てることができます。他者に対しては社会の一員として、最低限のルールや倫理に則った行動を「期待する」のは、共存のために必要な前提。ただし、過度な期待を持ちすぎず、理想と現実のギャップを理解する柔軟性が必要。他者の生き方や価値観に関しては、できる限り尊重し、多様性を認める。ただし、社会的に影響を及ぼす行動や公的な立場での責任には、適切なフィードバックが求める。他者が社会に影響を与える行動を取った場合には、単なる尊重ではなく、説明責任や改善の要求。つまり「期待」は、対象や状況に応じて柔軟に使い分けるべきものであり、特に社会的な問題に対しては「責任」という要素も加えることが必要です。こうしたバランスの欠如や特定の状況に対して「尊重」だけが強調されることへの懸念はあるが、他者に対して幻想を抱かないことと社会に対して建設的な期待は両立すると考えます。

In online discourse, a common argument that has persisted for at least 20 years is the notion that "people expect too much from others and society." This perspectiv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major tendencies. The first is the minimization of criticism toward misconduct or inappropriate remarks. The second is the rejection of resistance against social injustices, inequities, and irrationalities by relying on the concept of personal responsibility.

When reconsidering what personal responsibility truly means, it is the belief that an individual's success or failure is solely the result of their own efforts and choices. From this standpoint, expecting anything from society or others is often regarded as dependence or weakness, with the message "solve your own problems" being strongly emphasized. The widespread acceptance of this mindset can be attributed to the proliferation of neoliberal ideologies after the 2000s, which reduced societal problems and difficulties to matters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making the notion of "don't expect help; solve it yourself" a commonly accepted idea. Additionally, the anonymity offered by social media and online forums has fostered a culture of cynicism and sarcasm, further amplifying such attitudes.

The rhetoric of "don't expect too much from others" has become pervasive in a way that trivializes real frustrations and functions as a form of social pressure. In today's world, where individual self-reliance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ere is a growing reluctance to rely on society. As a result, the very act of expecting anything from others or society is often viewed negatively. Closely tied to the concept of personal responsibility is the belief that "effort will always be rewarded." This belief attributes all shortcomings to a lack of effort and serves to deny expectations toward societal support or improvement.

However, society is built on the premise of mutual assistance; no one can live entirely on their own. The prevailing notion that one should not expect anything from others or society risks undermining the culture of mutual support. If this mindset becomes deeply ingrained, individuals may become isolated, leading to an increased risk of mental health issues. The feeling of being abandoned with thoughts like "no one will help me" can lead to a growing sense of helplessness.

It is natural to hold appropriate expectations in a cooperative society, and such expectations should not be seen as dependence but rather as a part of mutual cooperation. While self-reliance is important, it is equally crucial to recognize the value of utilizing social institutions and support systems. Striking a balance between the two is key. In addition to individual effort, it is essential to make visible the voices calling for structural improvements within society and to reevaluate the legitimacy of having expectations.

A healthy society requires a moderate level of expectations. Rather than outright rejecting expectations, it is important to reconsider the value of mutual support and cooper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excessive expectations of others can often lead to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due to discrepancies in values and actions. Accepting others as they are and focusing on internal fulfillment can contribute to greater ment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is essential to aspire for social change and improvements. Society is composed of individuals, and while individuals cannot directly control society, they can influence it over time through sustained efforts and advocacy. The key is to maintain reasonable and rational expectations rather than unrealistic ones.

While individuals' actions cannot always be controlled, social systems, culture, and policies can be influenced over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et go of personal expectations toward others while continuing to nurture expectations toward societal progress through sustained efforts. In a commun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expect others to adhere to basic ethical and social norms. However, it is equally important to be flexible in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without holding excessive expectations.

Respecting others' lifestyles and values is crucial, but at the same time, when individuals take actions that influence society or hold public responsibilities, appropriate feedback should be demanded. In such cases, mere respect is insufficient; accountability and requests for improvement are necessary.

In conclusion, expectations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arget and situation. Particularly in addressing social issues, the element of "responsibility" should be incorporated alongside expectations. While there may be concerns about the overemphasis on "respect" in certain situations, it is possible to balance a realistic view of others with constructive expectations for societ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oth aspects allows for a more holistic approach to personal and social development.

인터넷에서는 최소한 20년 전부터 "다른 사람과 사회에 기대하지 마라"라는 논조가 자주 보인다. 이러한 논조는 크게 두 가지 특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부정행위나 실언 등에 대한 비판을 축소하려는 행위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적 불공평, 사회적 불만, 사회적 불합리에 대한 저항을 '자기 책임론'에 기반하여 부정하려는 행위이다.

자기 책임론이란 무엇일까? 이는 개인의 성공과 실패를 모두 그 사람 자신의 노력과 선택의 결과로 간주하는 사고방식이다. 이 관점에서는 사회나 타인에 대한 기대가 '의존'이나 '나약함'으로 간주되며, "네 일은 네가 알아서 해결해라"는 메시지가 강조된다.

이러한 사고방식이 확산된 배경에는, 2000년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관의 보급이 있다. 이는 사회적 문제와 어려움을 "개인의 책임"으로 환원시킴으로써, "기대하지 마라 = 스스로 해결해라"라는 논조를 일반화시켰다. 게다가, SNS나 게시판 문화에서 익명성을 기반으로 냉소적이고 비꼬는 태도가 확산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다른 사람에게 기대하지 마라"는 논조는 현실적인 불만을 경시하는 형태로 퍼져나가며, 때로는 동조 압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의 자립이 강조되면서, 사회에 의존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생겨났다. 그 결과, 타인이나 사회에 대한 기대 자체가 부정되는 경향이 강해졌다고 볼 수 있다.

자기 책임론과 밀접하게 연결된 개념이 "노력하면 반드시 보답받는다"는 믿음이다. 이 사고방식은 개인의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에 대한 기대가 불필요하다는 논조로 이어진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빈곤, 불평등, 기회의 격차와 같은 구조적 문제가 존재한다. 자기 책임론은 이러한 문제들을 개인의 노력 부족으로 단순화하여, 사회적 개선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인간 사회는 상호부조를 전제로 성립되며, 누구도 혼자서 살아갈 수 없다. 그러나 "기대하지 마라"는 풍조는 사회적 상호부조의 문화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만약 타인과 사회에 기대할 수 없다는 생각이 깊이 뿌리내리면, 개인은 고립되며 정신 건강 문제도 악화될 수 있다.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는다"는 인식은 무력감을 심화시킨다.

타인과 사회에 적절한 수준에서 기대하는 것은 공생 사회에서 당연한 것이며, 이는 의존이 아니라 "상호 협력"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자립적인 노력을 중시하면서도, 사회가 제공하는 제도나 지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하며, 두 가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구조 자체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가시화하고, "기대하는 것"의 정당성을 재평가해야 한다. 사회의 건강한 모습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기대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히려, 기대를 부정하는 풍조 자체를 다시 검토하고, 상호 지원과 협력의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 수준에서는, 타인에게 과도한 기대를 가지면 상대의 행동이나 가치관과의 차이로 인해 실망과 좌절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내면적 충족을 중요시하는 것이 정신적 안정으로 이어진다.

한편, 사회에 대해서는 더 나은 방향으로의 변화와 개선을 바라는 것이 필수적이다. 사회는 개인의 집합체이며, 개인이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이상"과 "기대"를 가지고 노력하고 행동해야 사회의 발전과 개선이 가능하다.

다만, 여기서의 "기대"는 타인에 대한 비현실적인 환상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기대여야 한다. 개인의 행동은 통제할 수 없지만, 사회 전체의 시스템, 문화, 정책에 대해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에 대한 기대는 내려놓되, 사회에 대한 기대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키워갈 수 있다.

타인에게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최소한의 규칙과 윤리를 지키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공존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이다. 하지만, 지나친 기대는 자제하고,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이해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타인의 삶과 가치관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존중하고,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이나 공적 입장에서는 적절한 피드백이 요구된다. 타인이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했을 경우, 단순한 존중을 넘어 설명 책임과 개선 요구도 필요하다.

결국, 기대는 대상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해야 하며, 특히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는 "책임"이라는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균형이 결여되거나 특정 상황에서 "존중"만이 강조되는 것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지만, 타인에게 환상을 가지지 않는 것과 사회에 대한 건설적인 기대는 양립할 수 있다.

いいなと思ったら応援しよう!

timshel(ティムシェル)
続けるモチベーションになります。よければお願いしますm(_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