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出し画像](https://assets.st-note.com/production/uploads/images/170242637/rectangle_large_type_2_321918298bed3a31cf030ea66644e3cd.png?width=1200)
『何者でもない自分という孤独を許すことからはじめる』英語韓国語日記2025/01/16
I used to struggle with the fear of being "nobody." In my early twenties, I couldn't pursue the career I had once dreamed of, and I eventually gave up on my goals, convincing myself I wasn’t suited for them. There was a time when I felt lost, unsure of how to make a living. But it was hard to admit that to others. When you have a dream or a clear goal, it almost feels like a shield—something that grants you permission from friends, family, and even yourself to keep trying. But when I let go of my ambitions, I felt stripped of that shield, vulnerable, as if I had nothing to justify my existence. Most of all, I couldn’t forgive myself for being "nobody."
Over time, I realized that having a dream isn't everything. Not everyone works with a dream in mind—and that’s okay. What finally helped me forgive myself was this: I began to see my twenties as a kind of extended field trip into life. I tried different jobs, hoping they might eventually connect to something meaningful. Along the way, I faced criticism—sometimes harsh, sometimes well-intentioned. But I learned not to let those words get to me. They didn't serve me, so I chose to ignore them.
What changed me the most, though, was the realization that even people with dreams have moments where they feel like "nobody"—moments of loneliness. That made me feel connected to everyone, even those who had spoken harshly to me. Now, when friends—whether they have dreams or not—come to me for advice, I remind them that everyone feels like "nobody" sometimes. Accepting that part of yourself can reveal truths you might not see otherwise. In fact, those quiet, lonely moments may be some of the most valuable experiences in life.
저는 지금 파트너와 함께 회사를 운영하며, 본업 외에도 영상 편집, 축구 하부 리그 클럽의 애널리스트, 의류 브랜드의 외부 이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살 무렵, 하고 싶었던 일에 도달하지 못했고, 주변을 둘러보며 ‘나는 이 일에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목표와 꿈을 포기하게 되었고, 그 이후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라는 고민을 오래 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솔직하게 말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꿈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고 있다면, ‘꿈을 좇는 사람’으로 이해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동료들조차도 그 사실을 인정해 줄 것입니다. 하지만 꿈을 포기하고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 되었을 때는, 그런 이해를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그런 제 자신을 용서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저는 깨닫게 되었습니다. 꿈이나 목표가 전부는 아니며,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것 없이도 자신의 일을 해내고 있다는 사실을요. 저는 20대의 시간은 인생의 사회 견학 기간이라고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다양한 일을 경험하고, 그것이 언젠가 미래에 연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여러 직업을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제 내면의 생각을 타인에게 굳이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때로는 선의든 악의든 상처가 되는 말들을 들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부정적인 말에 휘둘리지 않고, 무시하기로 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말에 상처받아도 제게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걸 알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제가 가장 크게 깨달은 것은, 꿈을 가진 사람조차도 때로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된다는 것입니다. 고독한 순간은 누구에게나 찾아옵니다. 그래서 부정적인 말을 던지는 사람들도, 사실은 자신이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라고 느끼며 외로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 깨달음은 저를 편안하게 해주었고, 저 자신을 조금씩 용서할 수 있게 했습니다.
대학 친구들이나 주변에서 꿈을 가진 사람, 혹은 꿈을 가지지 못한 사람 모두에게 저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우리 모두, 본질적으로 고독한 존재다. 그 고독을 받아들이기 시작할 때, 새로운 시야가 열릴 수 있다. 그리고 길게 보면, 그 고독한 시간은 결코 헛된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런 이야기를 글로 정리해 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학생들뿐 아니라, 다양한 상황과 위치에서 고민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いいなと思ったら応援しよう!
![timshel(ティムシェル)](https://assets.st-note.com/production/uploads/images/116454666/profile_75e51bcce88a5c739eed65195fc5bc8c.png?width=600&crop=1:1,sm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