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出し画像

『「ホーソン実験」とミヒャエル・エンデ「モモ」の効率と人間関係』英語韓国語日記2024/12/10

Roughly a century ago, the renowned Hawthorne experiments s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altering workplace conditions—such as machinery or schedules—on workers. Surprisingly,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oductivity rose irrespective of these changes. The underlying insight was that it was not the physical adjustments themselves that drove this improvement but rather the workers' awareness of being observed and involved in the experiment.

This underscores a fundamental truth: workers are not mere cogs in a machine but social entities whose drive is profoundly shaped by relationships with peers, superiors, and the psychological climate of their workplace.

In contemporary Japan, the emphasis on efficiency has grown significantly, and I share the belief in its importance. Yet, a relentless pursuit of efficiency, when it neglects the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dynamics of the workplace, risks undermining motivation and morale—a paradoxical failure of its own goals. I have witnessed firsthand how an obsession with efficiency can breed frustration among colleagues, ultimately eroding their enthusiasm for work.

Striking a balance between efficiency and the preservation of human connection is imperative. Michael Ende’s Momo offers a poignant meditation on these themes, using its narrative to critique the alienating effects of hyper-efficiency. Published in 1973 in industrially dominant Germany, it stands as a prescient exploration of the toll that efficiency can exact on human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Its central message—that the most meaningful things in life often require time and genuine human connection—is as vital today as it was when it was first written.

약 100년 전, "호손 실험"이라는 유명한 연구가 시행되었습니다. 이는 작업 환경의 물리적 조건, 예를 들어 기계나 근무 시간과 같은 요소를 변경하여 노동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결과, 조건이 어떻게 변화하든 상관없이 노동자의 생산성이 꾸준히 향상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물리적 환경 변화 그 자체보다,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는 인식과 심리적 자각이 노동 의욕을 고양시킨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즉, 노동자는 단순한 노동력 공급원이 아닌, 동료와의 관계, 상사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심리적 환경에 의해 좌우되는 사회적 존재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근 일본에서도 효율성 개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저 또한 그 필요성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효율성을 지나치게 중시하다 보면 인간관계의 갈등과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결국 노동 의욕 저하라는 역설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제가 목격한 사례로, 효율성을 지나치게 강요받은 동료들이 짜증을 내고 노동 의욕을 상실하는 모습을 종종 보았습니다.

효율성의 추구와 노동 의욕의 고양 사이에는 분명히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하며, 이 균형을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미하엘 엔데의 소설 『모모』는 시간과 인간관계를 주제로 한 탁월한 작품으로, 효율성이 인간관계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탐구합니다. 1973년, 산업 강국 독일에서 출간된 이 소설은 당시 사회의 비판적 통찰을 반영한 선구적 텍스트라 할 수 있습니다. 작품은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위에 시간을 들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메시지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으로 다가옵니다.

いいなと思ったら応援しよう!

timshel(ティムシェル)
続けるモチベーションになります。よければお願いしますm(_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