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出し画像

『車椅子生活とダイアログ・イン・ザ・ダークと生理痛疑似体験』英語韓国語日記2024/11/28

I have always believed that while gaining knowledge about the experiences of people commonly referred to as "socially disadvantaged"—those who are significantly disadvantaged compared to others for various reasons—is important, it is even more valuable to experience these realities firsthand or at least simulate them. One example is living in a wheelchair, which I personally experienced after undergoing two hernia surgeries. Just getting in and out of the wheelchair is a challenge. Tasks like washing your face at the sink, cooking or washing dishes in the kitchen, sitting on a regular chair, using the toilet, or getting into the bath—all of these require extraordinary effort because everything is designed for able-bodied people. Even stepping outside becomes impossible with the smallest of steps or uneven surfaces. Although I understood intellectually that society is built with able-bodied individuals in mind, experiencing it firsthand was far more eye-opening than I had imagined.

Another example is the program Dialogue in the Dark, where participants navigate complete darkness under the guidance of visually impaired facilitators. This experience sharpens your senses and helps you discover new aspects of yourself. It shows just how reliant we are on visual information. I realized that the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information I could perceive alone wasn’t enough. Sharing and trusting the information others provided became essential, but this process required the foundation of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 third example is a program simulating menstrual pain, where electrodes are attached to the abdomen to deliver stimulating pulses. Frankly, the sensation felt similar to hernia pain, but concentrated in the abdominal area. Women experience varying levels and patterns of pain, but I couldn’t help thinking about how they endure this every month.

Finally, there’s my current personal experience of dizziness, headaches, nausea, tinnitus, and fatigue. These symptoms, like menstrual pain, fluctuate in intensity. As far as I know, there are no programs yet that simulate this experience, but the other three—living in a wheelchair, Dialogue in the Dark, and simulating menstrual pain—are widely available as events. I strongly encourage men, in particular, to try them.

There may be other simulations for physical conditions that create social disadvantages, which I’m not aware of. If given the chance, I’d like to try them too. Of course, experiencing these things doesn’t mean you can fully understand or empathize, and it’s dangerous to assume you do. However, if such programs were integrated as a form of education—not just in schools but also in workplaces and society at large, combining hands-on experience with theoretical learning—it could lead to a more inclusive and understanding society, little by little.

저는 흔히 ‘사회적 약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여러 이유로 인해 다른 사람들에 비해 현저히 불리하거나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경험하는 것에 대해 지식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또는 간접적으로라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오래전부터 생각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휠체어 생활입니다. 저는 두 번의 허리 디스크 수술을 받은 후 실제로 이 경험을 했습니다.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 쉽지 않았습니다. 휠체어에 앉은 채로 세면대에서 세수를 하거나, 주방에서 요리하거나 설거지를 하거나, 일반 의자에 앉으려고 해도 모든 높이가 비장애인 기준으로 맞춰져 있어 불편했습니다. 화장실이나 욕실을 이용하려면 상반신의 힘만으로 움직여야 했고, 외출을 시도하려 해도 작은 턱조차 휠체어로는 넘기 힘들었습니다.
이 사회가 얼마나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되었는지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경험해보니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두 번째는 ‘다이얼로그 인 더 다크(Dialogue in the Dark)’ 프로그램입니다. 시각장애인의 안내 아래 완전한 어둠 속에서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오감을 날카롭게 하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평소 우리가 얼마나 시각 정보에 의존하는지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저 혼자 느끼는 촉각, 후각, 청각 정보만으로는 너무 부족했습니다. 다른 사람이 가진 정보를 공유받아 신뢰하는 것조차, 그 전에 인간관계가 얼마나 잘 형성되어 있는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웠습니다.

세 번째는 생리통 모의 체험입니다. 복부에 전극 패드를 부착해 자극을 주어 체험하는 방식입니다. 솔직한 느낌으로는 허리 디스크의 통증이 복부에서 느껴지는 것 같았습니다. 물론 여성들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통증의 강도와 주기가 다르겠지만, 매달 이런 통증을 겪는다고 생각하니 경외감마저 들었습니다.

네 번째는 현재 제가 겪고 있는 개인적인 경험으로,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이명, 그리고 피로감입니다. 이 증상들도 생리통과 마찬가지로 강약의 파도가 있습니다. 제가 아는 한 이러한 체험을 모의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아직 없는 것 같지만, 휠체어 생활, 다이얼로그 인 더 다크, 생리통 모의 체험 이 세 가지는 각지에서 이벤트 형식으로 참여할 수 있으니, 특히 남성들에게 꼭 경험해보길 추천합니다.

제가 모르는 다른 모의 체험 프로그램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기회가 된다면 꼭 체험해보고 싶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한다고 해서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해했다고 착각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학교뿐만 아니라 회사, 더 나아가 사회 전체에서 ‘교육’으로서 이론 수업과 실제 체험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면, 사회는 조금씩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いいなと思ったら応援しよう!

timshel(ティムシェル)
続けるモチベーションになります。よければお願いしますm(_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