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村上春樹とカートヴォネガットの正義と愛』英語韓国語日記2024/11/19
There’s a well-known proverb that says, “The road to hell is paved with good intentions.” After nearly three decades of observing the internet, I’ve seen countless instances where rumors, fake news, urban legends, and conspiracy theories began as jokes or fabrications but eventually transformed into beliefs people took seriously. This transformation, I think, is often the result of good intentions—righteousness or love—that spiraled out of control.
Righteousness and love, for all their virtues, are treacherous forces, challenging to govern recursively and prone to overreach. For this reason, I prefer to keep my distance from them. If I am to act on behalf of someone else, I strive to minimize the scope of my intentions—to limit the "I" as much as possible and narrow the range of application to friends, acquaintances, or family. In such cases, my actions might not be driven by righteousness or love but by an intention to be kind.
The American author Kurt Vonnegut wrote in his novel Jailbird: “Love may fail, but courtesy will prevail.” It’s a sentiment so dear to me that I would gladly make it part of my personal credo. Love, while noble, isn’t always sufficient, but the effort to be kind—to extend simple courtesy—seems more manageable, less prone to dangerous overreach.
Kindness, unlike love, can be governed recursively. It doesn’t easily spiral out of control. Its scope can be minimized, its range confined to those closest to us. This reminds me of the term “小確幸” (shōkakkō)—“small but certain happiness,” a phrase popularized by Haruki Murakami in Norwegian Wood. It describes the quiet, modest joys of everyday life. I can’t help but think that this idea of 小確幸 aligns closely with Vonnegut’s notion of kindness.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는 유명한 속담이 있습니다. 제가 30년 가까이 인터넷을 지켜보면서 느낀 것은, 유머로 시작된 루머, 가짜 뉴스, 도시 전설, 음모론 같은 것들이 결국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는 모습을 수도 없이 봐왔다는 점입니다. 이런 것들이 진지해지는 이유는, 선의에서 비롯된 정의감이나 사랑이 폭주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정의감과 사랑이라는 것은 사실 다루기 매우 까다로운 감정입니다. 그것을 재귀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정의감과 사랑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싶습니다. 만약 제가 누군가를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면, 저는 가능한 한 주어를 최소화하고, 그 범위를 친구, 지인, 가족 정도로 제한하려고 합니다. 아마 이런 행위는 정의감이나 사랑이 아니라, 단순히 친절을 베풀려는 행동일 것입니다.
미국 작가 커트 보니것의 소설 제일버드(Jailbird) 에는 “사랑은 질 수 있지만, 친절은 승리한다”는 말이 나옵니다. 이는 제가 제 프로필에 쓰고 싶을 정도로 좋아하는 말입니다. 사랑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누군가에게 친절하려는 태도는 재귀적으로 통제가 가능하며, 폭주할 위험이 적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주어를 최소화하고, 그 범위를 친구, 지인,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로 제한하는 것. 이로 인해 저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노르웨이의 숲 에서 소개한 중국어 표현인 “小確幸(소확행)”을 떠올리게 됩니다. 문자 그대로 “크고 화려한 기쁨이 아니라, 일상 속 사소한 일들에서 발견되는, 평온하고 확실한 행복”이라는 뜻입니다. 소확행이야말로 커트 보니것이 말한 “친절”과 닮아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