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メールで相談が来ました。フリーランスに必要なこと』日本語英語韓国語日記2025/02/10
*各言語でニュアンスが違うのは文体をそれぞれ変える練習ですのでご容赦ください。
日本語版
メールで相談頂いた内容を
詳しくは書けませんが、
つまるところ、
「会社を辞めてフリーランスになろう、
と思うのですが必要なことはなにですか」
という内容でした。
たぶんこの回答は十人十色で、
1つだけが回答ではない。
それに私の回答が、
相談者さんと相性がいいかもわかりません。
それでも私で良ければ言えることは、
私は何社か会社に務めましたが、
正直あんまり組織に属するのに向いてない。
なんでかというと、
言われたことをするのに
「なんでこれ必要なんだろう?」と
いちいち考えるから。
だから時間がかかるんだよね。
というわけで高学歴というわけでもない。
「こういうものだから」というのに、
飲み込める人の方が早いし、
会社からすると扱いやすい。
でも私みたいなタイプは、
「なんでこういうものになってるんだ?」
と毎回疑問に感じ答えを探るから遅い。
だから会社からすると扱いにくい。
ただ私みたいなタイプは、
「こういうものだから」に、
答えをそれぞれ持ってたり、
疑問によっては何年もそれについて考える。
するとそれはフリーランスになると、
個性になるんだよね。
1から10とかにするのは下手だけど、
0から1もしくは10ぐらいまで考えるのは、
得意というか単純に好きなんだよね。
社会に出ると、
答えのない疑問に出会う時が
ほぼ100%ある。
たまに幸運なことに出会わない人もいる。
それで、じゃあどうやって、
答えのない疑問に回答を出すかというと、
私みたいに0から1を考える癖がついてる人は
そういう問題に慣れてるから、
答えを出せる事が多い。
それでも答えのない疑問に出会う時もある。
そういう時は、
何年もその疑問を考えたり、
他の疑問で考えたバラバラの答えを組み合わせると答えらしいものが出来たりする。
その答えが正しいかどうかは、
誰にもわからないけど、
わりと捨てた物じゃない答えになることが多い。
長々と書きましたが、
言いたいのは、
フリーランスになると、
その答えのない疑問に出会うのが、
間違いなく増える。
で、それに答える訓練を、
会社にいながらしておくと、
後々役立つことが多いので、
スキルとかに加えて、
それを知っていると良いと思います。
……というような事をメールの返信に、
書かせてもらいました。
多少加筆修正しましたが、
おおまかには同じないようです。
フリーランスになるのを考えてる方に、
参考になればと思います。
英語版
I received an email consultation recently. Although I can’t go into too much detail, it essentially boiled down to: "I'm thinking of quitting my company to become a freelancer. What do I need to know?"
I imagin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varies from person to person—there’s no one-size-fits-all response. And honestly, I can’t say for sure whether my perspective will be the right fit for them. Still, if they were willing to hear me out, here’s what I shared:
I've worked at several companies, but to be frank, I’m not particularly suited to being part of an organization. The reason is that I tend to question everything—"Why is this necessary?"—even when simply following instructions. That naturally slows me down.
I don’t have any particularly prestigious academic background either. People who can just accept, "That's how it is," tend to adapt quickly and be more manageable from a company’s perspective. But people like me who keep wondering, "Why is it that way?" often end up difficult to handle.
However, this tendency can become a strength when freelancing. Someone like me may not be great at methodically taking something from step one to ten. But starting from zero and figuring out how to get to one—or even imagining the leap to ten—that’s something I’m naturally inclined toward and genuinely enjoy.
In society, you inevitably encounter questions that don’t have clear answers. A lucky few may avoid them, but for most people, they’re unavoidable.
So how do you go about finding answers to questions that seemingly have none? People like me, who have gotten into the habit of thinking from zero, tend to be more accustomed to tackling such problems. Often, we manage to come up with answers.
Even then, there are times when you encounter questions that stump you. In those moments, sometimes thinking about that question for years or piecing together seemingly unrelated answers from past inquiries will yield something resembling a solution.
Whether that solution is "correct" or not, no one can say for sure. But more often than not, it turns out to be something worthwhile.
What I wanted to convey, after this long explanation, is that becoming a freelancer will undoubtedly expose you to more of these questions without clear answers.
If you've already trained yourself to tackle such questions while still working at a company, it can serve you well in the future. Alongside developing tangible skills, I think this kind of mindset can be incredibly valuable.
That's the gist of what I wrote in my email reply, though I’ve touched it up a bit here and there. I hope this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anyone considering taking the leap into freelancing.
韓国語版
최근 이메일로 상담 요청을 받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모두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요약하자면, "회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가 되려고 하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라는 질문이었습니다.
아마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다 다를 겁니다. 딱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도 아니죠. 그리고 제가 드린 답이 그분께 맞는 답인지도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에게 물어봐 주셨으니, 제 경험에서 말씀드릴 수 있는 이야기를 적어보겠습니다.
저는 몇몇 회사에서 일을 해봤지만, 솔직히 말해 조직에 소속되는 데 잘 맞지 않는 편입니다. 왜냐하면 지시받은 일을 하면서도 "왜 이게 필요하지?" 하고 계속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시간이 더 걸리게 되죠.
게다가 저는 고학력자도 아닙니다. "원래 그런 거야"라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이 훨씬 빠르게 적응하고, 회사 입장에서는 다루기 쉬운 존재일 겁니다. 하지만 저처럼 매번 "왜 이런 방식이지?"라고 의문을 품고 그 답을 찾으려는 사람은 속도가 느립니다. 그래서 회사 입장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존재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저 같은 타입은 "원래 그런 거야"에 대해 각각 나름의 답을 가지고 있거나, 때로는 그 의문에 대해 몇 년씩 고민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런 점이 프리랜서가 되었을 때는 개성으로 작용하더군요.
1에서 10까지 차근차근 해내는 것은 서툴지만, 0에서 1을 만들거나 10까지 한번에 생각해보는 것은 비교적 잘하고 단순히 좋아하기도 합니다.
사회에 나가면 답이 없는 의문에 마주치는 일이 거의 100% 존재합니다. 운이 좋아 그런 상황을 겪지 않는 사람도 가끔 있죠.
그럼 그 답이 없는 질문에 어떻게 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저처럼 0에서 1을 생각하는 습관이 든 사람들은 그런 문제에 익숙해서 나름대로 답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여전히 답이 나오지 않는 의문에 부딪힐 때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몇 년 동안 그 의문을 곱씹거나, 다른 의문에서 생각해낸 서로 다른 답들을 조합해서 그럴듯한 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그 답이 맞는지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버릴 만한 답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장황하게 설명했지만, 제가 전하고 싶은 핵심은 프리랜서가 되면 그런 답 없는 질문을 마주하는 일이 확실히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회사에 있는 동안 그런 질문에 답하는 훈련을 해두면 나중에 꽤 유용할 때가 많습니다. 기술을 익히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런 마음가짐을 알고 있는 것도 좋은 준비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메일 답장에 쓴 내용은 대체로 이런 이야기였습니다. 약간의 수정은 했지만 큰 틀에서는 같아요. 프리랜서를 고민하시는 분께 참고가 되길 바랍니다.
いいなと思ったら応援しよう!
